라이프가이드

국대정형외과 건강칼럼
유독 한쪽 발목만 자주 삔다면? ‘발목불안정증’ 의심해야
'발목 불안정증 증상 3단계 및 원인 치료'

계단을 내려가다 발을 헛디뎌 넘어지거나 길을 가다 미끄러져 발목을 접질리게 되면 순간적인 충격으로 인해 발목 주변의 인대가 늘어나거나 손상될 수 있는데 이를 '발목 염좌'라 한다. 발목 염좌는 발목이 안쪽으로 꺾이면서 발목 바깥쪽의 인대가 손상되어 발생하는 것이 90%를 차지한다. 인대 손상의 정도에 따라 3단계로 나눌 수 있는데, 인대 섬유가 약간 늘어난 1단계, 인대의 일부분이 파열된 2단계, 인대 조직이 완전히 끊어진 3단계로 구분한다.
2,3단계 발목 염좌는 심한 통증과 함께 멍, 부종이 동반되기 때문에 많은 환자들이 병원을 찾는다. 그러나 경미한 수준일 경우, 찜질이나 진통제 복용에 의지한 채 제대로 된 치료를 하지 않고 저절로 낫기를 기대하는 사람들이 많다. 그러나 증상이 경미하다 하더라도 한 번 손상된 인대를 제대로 치료하지 않는다면 발목 불안정증으로 악화될 수 있기에 조심해야 한다.





발목불안정증은 급성 발목염좌가 발생한 이후 인대가 느슨해진 상태로 회복되어 발목 인대가 제 역할을 온전히 하지 못해 만성적으로 불안정성이 이어지는 것을 말한다. 쉽게 발목을 삐끗하게 되면서 발목 염좌가 반복적으로 발생할 수 있기에 주의가 필요하다.
발목불안정증이 있는 경우 발목이 반복적으로 휘청거리면서 통증이 함께 나타나곤 한다. 편한 신발은 신고 평지를 걸어도 이유 없이 자꾸 발목을 삐끗하게 되고, 잘 걷다가도 발목에 갑작스럽게 힘이 빠지는 듯한 증상이 나타나기도 한다. 발목을 자주 접질리게 되면서 인대에 손상이 가해지고, 발목 주변의 혈관 및 신경이 손상되면서 발 시림이나 저림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발목이 선천적으로 유연해서 발목불안정증이 생기는 경우도 있지만, 대부분은 외상 이후 적절치 못한 회복으로 인해 발목불안정증이 발생한다. 발목 염좌가 생겼다면 손상을 입은 인대가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 및 보호해야 한다. 통증이 없다고 방치하게 되면 인대의 기능이 온전히 회복하지 않으면서 만성 불안정증, 통증 등의 합병증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다.





발목을 다쳤다면 우선 다친 발목에 부담을 주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 경미한 손상이라면 냉찜질과 휴식을 취한다면 수일 내 증상이 완화될 수 있다. 그러나 시간이 지나도 통증이 지속되거나 인대가 부분적으로 파열된 경우라면 체외충격파 치료, 프롤로 주사치료와 같은 비수술적 요법을 고려해볼 수 있다. 체외충격파 치료는 손상된 인대 및 힘줄 부위에 충격파를 조사하여 혈류 순환을 증가시켜 염증과 통증을 완화하고 손상된 조직이 스스로 재생할 수 있게끔 도움을 주는 치료다. 1, 2단계의 염좌에서는 보존적 치료를 통해 좋은 예후를 기대할 수 있으므로 초기에 적극적인 치료를 받을 것을 권장한다.





발목불안정증은 방치하게 되면 발목 손상이 반복적으로 발생하면서 염증을 유발해 발목 관절염의 발병 원인이 되기도 한다. 나이에 불문하고 관절염이 발생할 수 있기에 발목을 접질렀거나 발목불안정증 의심 증상이 나타났다면 조속히 발목 주변부의 조직을 강화하는 치료를 시행하는 것이 중요하다.
국대정형외과 신재명 원장은 "발목을 접질렀다면 정형외과에 내원하여 정확한 검사와 적절한 치료를 받을 것을 권장한다. 또한 발목 사용을 삼가고 휴식을 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지만, 부득이한 경우 보조기를 착용하여 발목의 움직임을 최소화 하여 발목 건강을 지키는 것이 바람직하다."라고 설명했다.
이어서 "인대는 근육이나 뼈와 다르게 한 번 손상된다면 100% 회복을 기대하기 어려운 부위이다. 처음 발목을 접질렀을 때 전문의의 처방을 받아 제대로 처치하고 후유증을 방지하는 것이 발목불안정증으로의 악화를 막는 가장 좋은 방법이다."라고 강조했다.

EDITOR 편집팀
국대정형외과 신재명 대표원장
전화 : 0507-1372-2115
주소 :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상당로 47 (구 남궁병원1층)
現) MBC 의료포털 닥터공감 자문의 / 네이버 지식in 건강상담 위촉의 / 청주 서울연합메디컬정형외과 대표원장/서울아산병원 정형외과 외래교수 / 서울아산병원 정형외과 수족부전임의/대한 정형외과학회 정회원 / 대한관절경학회 정회원 / 대한 AO골절 전문의과정수료/대한 수부외과학회 정회원 / 대한 슬관절학회 회원 / 대한 척추관절학회 평생회원 / 미국 ASSH학회 논문 발표
본 칼럼니스트의 최근 글 더보기
해당 카테고리의 다른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