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1년 후 내가 이 세상에 없다면

2021-05-06

문화


소중한 것을 미루고 있지 않습니까?
1년 후 내가 이 세상에 없다면
'당신에게 주어진 오늘은 당연한 것이 아닙니다'


지금 당신은 ‘별로 중요하지 않은 일’과 ‘지금 당장 시작해야 하는 일’을 구분하며 살고 있습니까? 
    저자 시미즈 켄은 정신적 고통을 겪는 사람들을 돕겠다며 정신과 의사의 길을 택했지만, 정작 자신도 ‘이렇게 살아도 정말 괜찮을까’ 자문하며 살아왔다. 그런데 암 진단을 받은 환자들은 그의 앞에 암보다도 어려운 고민을 던진다. “이제 저는 어떻게 살아야 하나요?” 
    누구보다 절망을 가까이하고 살면서도 그가 오랫동안 암센터를 지킬 수 있었던 이유는 무엇일까? 곧 삶이 끝난다는 사실을 알면서도 최선을 다해 오늘을 살고자 애쓰는 환자들. 그리고 그들의 사연들. 시미즈 켄은 마침내 이곳에서 삶의 우선순위를 다시 세우게 된다.    
    그냥 하루하루를 살아가던 나는 진심으로 그 환자들을 존경하게 됐다. 그 결과 내 인생도 달라졌다. 대단한 곳으로 이직을 하거나 인생이 뒤바뀌는 거창한 변화는 아니지만 ‘나에게 그다지 중요하지 않은 일’과 ‘지금 당장 시작해야 하는 일’을 확실히 구별할 수 있게 됐다. _p.9


내 마음속 ‘want의 목소리’를 들어야 내가 무엇을 위해 사는지 알 수 있습니다 
    암 판정을 받은 후 우울증에 걸리는 비율은 5명 중 1명, 암 판정을 받은 후 1년 이내 자살률은 일반인의 24배라는 통계가 있다. 암 선고 후의 충격은 이루 말할 수 없이 크지만, 이를 계기로 남은 시간을 더 나답게 살고자 노력하는 사람들이 많다.
    죽음을 의식하고 사는 것만으로 어떻게 나다운 삶의 방식이 가능할까? 자칫 초조함만 더하는 일이 아닐까? 우리와 똑같은 의구심을 품었던 저자 앞에 환자들은 저마다 품고 있던 뜻밖의 강인함을 선보인다. 삶에서 가장 중요한 게 무엇인지를 깨닫고, 오늘의 삶을 다르게 보기 시작하고, 더 나다운 삶으로 나아가는 과정. 그 핵심에는 ‘want의 나’가 있었다.
    너무 오래 must에 얽매여 살았기 때문에 내가 무엇을 원하는지 want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여 봐도 좀처럼 들리지가 않았다. want의 목소리가 또렷하게 들리지 않아 나는 여전히 어디로 나아가야 할지 정확히 알지 못했다. 암 투병을 하며 나보다 더 생생하게 인생의 남은 시간을 마주했던 사람들은 답을 갖고 있었다. 바로 그 답이 나의 이정표가 되었다._p. 149 
삶의 우선순위를 먼저 깨달은 사람이 삶에 지친 모든 사람들에게
    우리는 누구에게나 반드시 죽음이 찾아온다는 사실을 알지만, 실감하지 못한다. 그래서 오늘 하고 싶은 일을 내일로 미룬다. 변화를 원하지만 쉽게 시작하지 못한다. 그런 우리에게 먼저 삶의 끝을 의식한 사람들이 꺼내놓는 이야기. “지금 있는 그대로의 당신이면 충분합니다.”
    죽음을 의식하고 다뤄지는 이야기들이니 우울할 거라는 예상은 접어두자. 책 속의 환자들은 우리의 생각보다 훨씬 더 밝게 자주 웃는다. 항상 ‘삶’에 초점이 맞춰져 있기 때문이다. 창을 통해 밝고 부드러운 빛이 쏟아지는 심리 상담실. 삶에 지친 모든 이들에게 열린 공간이다.
    1년 후 자신이 병상에 누워 있다고 가정해보자. 1년 후의 자신이 지금의 나를 되돌아볼 때 지금 삶의 방식을 원망하면서 이러쿵저러쿵 후회할지도 모른다. 적어도 나는 일부러 그렇게 생각하며 살기 위해 노력한다. ‘오늘 하루는 당연하지 않다’는 생각이 ‘지금 여기의 자신’을 소중히 여기며 살아가도록 할 테니 말이다._p. 192 
책 속으로 
    나는 환자에게 도움도 되지 않는 조언을 하고, 환자가 별로 원하지 않을 때도 정신과 약을 처방하는 등 불필요한 참견을 일삼았다. 그러다 어느 순간 이러한 방식이 도움이 되기는커녕 오히려 해가 될 수도 있음을 깨달았다. 임상 경험을 쌓는 과정에서 사람에게는 고통과 마주하는 힘, 즉 ‘회복력’이 있다는 사실을 실감했기 때문이다. 나는 그 힘을 키워주기 위해 환자의 이야기를 충분히 들어주고 그들의 고통을 제대로 이해해줘야 했다. 그게 내가 할 수 있는 일이었다. _p. 28
    상담 초반에는 나도 오카다 씨와 신뢰 관계를 맺을 수 있을지 불안했다. 하지만 그가 지금까지 살아온 과정을 들려주자, 바로 내 생각을 이야기했다. “오카다 씨는 미래를 위해 현재를 살아오셨네요. 미래를 위해 현재를 희생하면서 살았던 겁니다. 그래서 현재를 사는 방법을 알지 못하는 거죠.” 그러자 오카다 씨는 내 말에 공감하며 이제 자신이 어떻게 살면 좋을지 함께 생각해달라고 부탁했다. 조금은 나를 의지해도 되겠다는 생각이 들었던 모양이다. 그리하여 나는 ‘달라진 현실에서 어떻게 살아갈 것인가’라는 과제에 맞서는 오카다 씨를 돕게 되었다. _pp. 56~57
    돈의 역할은 무엇일까? 지금까지 가족을 위해 돈을 모으는 게 중요하다고 생각했지만, 이제 생각이 바뀌었다. 소중한 가족과 행복한 시간을 보내기 위해 돈이 필요하다는 새로운 관점이 생겼다. 돈을 쓰는 게 무조건 나쁜 것은 아니었구나, 소중한 사람을 위해 하고 싶은 일을 할 때 비로소 의미가 있구나 생각이 든 것이다. 이렇게 병에 걸린 이후 돈에 대한 가치관이 달라진 사람이 많다. _pp. 65~66
    회복력을 위한 외래 진료는 성장기부터 지금까지 자신의 인생을 돌아보는 일이라 ‘또 다른 나’의 힘이 지나치게 강한 사람, 있는 그대로의 마음을 인정하지 못하는 사람에게 자신을 이해하기 위한 최적의 공간이 된다. 과거를 돌아보는 과정에서 환자는 나 자신을 강하게 옥죄는 또 다른 나가 존재하는 그 이유를 점차 이해하게 된다. 그래서 과거에는 또 다른 나가 필요한 사정이 있었을지 몰라도 지금은 ‘내 마음을 있는 그대로 인정해도 되지 않을까’ 하는 마음이 들기 시작한다. _pp. 94~95
    서른 살 무렵에는 워낙 일이 많고 바빠서 나에게 중심축이 없다는 사실을 어떻게든 외면하며 살 수 있었다. 그러나 암센터에서 만난 환자로부터 남은 시간을 어떻게 살면 좋겠냐는 질문을 들었을 때 현재를 어떻게 살아야 행복한지도 모르는 나로서는 아무 답을 떠올리지 못했다. 나는 큰 장벽에 부딪혔다. 그리고 줄곧 외면했던 ‘내가 나 자신의 인생을 살고 있지 않다’는 문제를 마주했다. _p. 134
    100명의 환자가 있다면 병과 마주하는 100가지의 방법이 있는데 여기에는 대개 공통된 요소가 있다. 다른 사람의 평가에 얽매여봤자 행복해질 수 없으며, 자신의 솔직한 감정을 따르며 살아가도 된다는 것, 소중한 사람과의 시간을 우선할 것, 지금 여기의 시간을 충분히 음미하는 것이다. _pp. 149~150